서브배경
서브이미지

건강한 치아로 평생 건강을 지키세요~!

여러분의 치아 캐슬부부치과에서 지켜 드립니다.

진료시간안내

  • 월수금 09:30 ~ 18:30
  • 화목야간 09:30 ~ 20:00(예약시)
  • 점심시간 13:00 ~ 14:00
  • 일/공휴일 휴진
  • 토요일 9시30분~14시(점심시간없음)

02-426-6777


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입안이 텁텁하고 바싹 마른 느낌…구강건조증, 어떻게 치료할까? [건강톡톡]

물을 마셨는데도 불구하고 입안이 마르는 듯한 느낌이 들고, 입냄새가 갈수록 심해진다면 ‘구강건조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구강건조증은 단순히 물을 많이 마시지 않아서 발생하는 증상일 수도 있지만, 자가면역질환 중 하나인 ‘쇼그렌증후군’의 증상으로도 알려져 있기 때문에 불안감을 느끼는 이들도 있다. 구강건조증은 어떤 불편한 증상을 가져오는지,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해 하이닥 전문가들과 자세히 짚어 보자.입속이 건조한 느낌이 들고 입냄새가 난다면 구강건조증의 증상일 수 있다|출처: 게티이미지뱅크q. 구강건조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무엇인가요?구강건조증이 발생하면 입안이 바싹 마르면서 민감해지고, 입술이 갈라지거나 따가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침샘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침이 부족한 상태가 됩니다. 이 때문에 입속 세균이 증식하면서 입냄새와 구강 염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 밖에도 식사 시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지거나 말을 하기 어려워지는 증상이 찾아오기도 하고, 침 부족으로 인해 치아 우식이나 치은염 등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하이닥 치과 상담의사 정재욱 원장 (강남새로치과의원)q. 입냄새가 심하면 무조건 구강건조증을 의심해야 하나요?구강건조증 외에도 입냄새를 유발하는 요인은 다양합니다. 구강 내 남은 음식물 찌꺼기 등이 구취를 유발하기도 하며, 이미 쌓여 있는 치태 혹은 치석에 의해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치주 질환을 가지고 있을 경우 잇몸 출혈이 발생하거나 질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냄새가 나기도 하고, 편도 결석이 있을 가능성도 의심해 봐야 합니다. 구강 외적인 요인으로 살펴보면 위염, 역류성 식도염처럼 위장기관의 건강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우선 구강의 전체적인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문제가 없다면 위장기관 등 다른 기관의 건강을 확인해 볼 것을 권합니다.- 하이닥 치과 상담의사 박제현 원장 (화이트드림치과의원)q. 입안에서 계속 이상한 맛이 느껴지는데, 구강건조증의 영향이 있을까요?구강 건조증이 있거나 침샘 분비에 이상이 있는 경우, 특별한 음식을 먹고 있지 않는데도 입에서 신맛이나 쓴맛이 느껴지는 미각 이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강 건조증에 의한 증상이라면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서서히 호전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뇌신경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침샘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서 미각 이상을 겪기도 하는데요. 만약 지속적으로 불편한 증상을 겪는다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하이닥 치과 상담의사 박제현 원장 (화이트드림치과의원)q. 혀에 백태가 많이 끼는 편인데, 구강건조증과 관련이 있을까요?혀에 백태가 자주 끼는 편이라면 구강건조증과 구강칸디다증 등의 구강질환으로 인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백태와 동시에 입안이 마르는 느낌이 찾아온다면 구강건조증, 백태의 영역이 점점 커진다면 구강칸디다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하이닥 치과 상담의사 이상준 원장 (화이트드림치과의원)q. 구강건조증이 있다면 무조건 쇼그렌증후군일까요?안구건조증이나 구강건조증이 쇼그렌증후군의 증상이기는 합니다. 그러나 쇼그렌증후군은 전신 질환으로, 구강건조증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쇼그렌증후군으로 진단하는 것은 아닙니다. 쇼그렌 증후군은 혈액 검사, 조직 검사 등의 정밀검사를 통해 전신적인 자가면역질환 소견이 보일 때 확진할 수 있습니다.- 하이닥 치과 상담의사 김금동 원장 (서울좋은치과의원)q. 구강건조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구강건조증이 있을 때는 물을 자주 마셔 수분을 보충하고 입안을 촉촉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만약 침샘의 기능이 떨어져 있는 경우라면 인공 타액 등을 사용해 구강 내 수분을 유지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만약 약물 복용에 의한 구강건조증인 경우에는 다른 약물로 교체하거나 복용량을 조절하면 구강건조증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담배와 알코올은 피하고,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이닥 치과 상담의사 정재욱 원장 (강남새로치과의원)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정재욱 원장 (강남새로치과의원 치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박제현 원장(화이트드림치과의원 치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이상준 원장 (화이트드림치과의원 치과 전문의), 하이닥 상담의사 김금동 원장 (서울좋은치과의원 치과 전문의)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 병원시설
  • 다음사진보기